맨위로가기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는 이탈리아 밀라노를 연고로 하는 AC 밀란과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 간의 축구 경기를 지칭하며, 밀라노 두오모 성당 꼭대기의 마돈니나 상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1899년 AC 밀란 창단 이후 1908년 인테르가 창단되면서 라이벌 관계가 시작되었고, 1926-27 시즌부터 매년 더비가 개최되었다. 1960년대에는 자니 리베라와 산드로 마촐라를 중심으로 양 팀의 황금기가 있었고,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AC 밀란이 아리고 사키 감독 아래 전성기를 누렸다. 2006년 칼초폴리 스캔들 이후 인테르가 리그를 4연패하고 트레블을 달성했으며, 2020년대 들어서는 두 팀이 번갈아 가며 우승을 차지했다. 2023-24 시즌에는 인테르가 AC 밀란을 꺾고 리그 우승을 확정 지으며,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에서 스쿠데토가 결정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두 팀은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산 시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안드리 셰브첸코가 14골로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파올로 말디니는 56경기로 최다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리에 A - 주세페 밀라노
  • 세리에 A - 세리에 A 올해의 영플레이어 상
    세리에 A 올해의 영플레이어상은 1997년부터 매 시즌 세리에 A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젊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AS 로마가 최다 수상자 배출 클럽이며 이탈리아 국적 선수와 공격수가 가장 많은 수상 횟수를 기록했다.
  • 이탈리아의 축구 더비 - 데르비 디탈리아
    데르비 디탈리아는 유벤투스와 인테르 간의 더비 경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탈리아 내 최다 우승 횟수와 팬을 보유하고 세리에 A 강등 경험이 없는 두 팀 간의 치열한 라이벌전이다.
  • 이탈리아의 축구 더비 - 데르비 델라 카피탈레
    데르비 델라 카피탈레는 로마 연고의 AS 로마와 SS 라치오 간 더비 경기로, 로마 시민의 자존심과 정체성이 걸린 행사이며 치열한 경쟁, 폭력적 팬덤, 정치 사회적 갈등이 나타나는 로마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 AC 밀란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AC 밀란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산 시로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AC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 두 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스포츠 이벤트와 콘서트가 개최되며, 2026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나 신구장 건설 계획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
기본 정보
인테르 밀란 로고
인테르 밀란
AC 밀란 로고
AC 밀란
경기 정보
첫 경기1909년 1월 10일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
최다 득점자안드리 셰브첸코 (14골)
최다 출장 선수파올로 말디니 (56경기)
최근 경기2024년 9월 22일
세리에 A
다음 경기2025년 2월 2일
세리에 A
최대 점수차 승리2001년 5월 11일
세리에 A
경기장산 시로
주세페 메아차
현재 연승밀란
최장 연승6경기
밀란 (1911–1913, 1946–1948)
인테르 (2023–2024)
관련 용어
it
it
it
트람베
트란베

2. 역사

1899년 영국인 허버트 킬핀 등이 '밀란 크리켓 앤드 풋볼 클럽'을 창단하면서 AC 밀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3] 초기에는 알프레드 에드워즈가 클럽 회장을 맡았고, 크리켓과 축구 섹션으로 구성되었다.[3] AC 밀란은 허버트 킬핀의 지도 아래 빠르게 성장하여 1901년, 1906년, 1907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 특히 1901년의 승리는 제노아의 연승 행진을 끝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3]

1915년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 경기 장면


1908년, AC 밀란 내부에서 외국인 선수 영입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풋볼 클럽 인터나치오날레'가 창단되었다.[3] 두 팀 간의 첫 더비 경기는 1908년 10월 18일 스위스 키아소 컵 결승전에서 열렸으며, AC 밀란이 2-1로 승리했다.[3] 초기에는 산발적으로 경기가 열렸지만, 1926-27 시즌부터 매년 더비가 개최되면서 본격적인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3] 이후 두 팀은 적어도 일 년에 두 번씩 경기를 치렀다.[3]

1960년대는 밀란 더비의 황금기로, 밀란의 자니 리베라와 인터 밀란산드로 마촐라라는 두 스타 플레이어가 이탈리아 축구를 양분했다. 밀란은 1962-63 시즌 유러피언컵에서 우승했고, 인터 밀란은 그 다음 해에 우승을 차지했다. 밀란은 1968-69 시즌에도 유러피언컵 우승을 추가했다. 당시 밀란네레오 로코 감독이, 인터 밀란은 헬레니오 에레라 감독이 이끌었다.

두 선수의 라이벌 관계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도 이어져, 197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리베라가 마촐라 대신 교체 투입되기도 했다. (이탈리아는 브라질에 1-4로 패배)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AC 밀란아리고 사키 감독의 지휘 아래 황금기를 맞이했다.[3] 마르코 판 바스턴, 뤼트 휠릿, 프랑크 레이카르트, 파올로 말디니 등 전설적인 선수들이 활약하며 국내 리그와 챔피언스 리그를 제패했다.[3] 1989년부터 1996년까지 밀란은 4개의 리그 타이틀과 3개의 유러피언컵(2번 준우승)을 획득하며 국내외 무대에서 지배적인 모습을 보였다.[3]

이 기간 동안 인터 밀란은 1992–93 시즌 리그 준우승, UEFA컵 2회 우승을 기록했다.[3]

2006년, 칼초폴리 스캔들로 인해 유벤투스는 2005-06 시즌 우승을 박탈당했고, 인터 밀란에게 우승이 돌아갔다. 하지만 이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 인터 밀란은 2006–07 세리에 A 타이틀을 획득했고, 이 시즌 유벤투스는 1부 리그에서 강등되었고 AC 밀란은 승점 감점으로 시즌을 시작했다.[3] 인터 밀란은 2009-10 시즌까지 리그 4연패를 달성했고, 챔피언스 리그와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포함하여 트레블을 달성했다.[3]

AC 밀란은 아테네에서 리버풀을 꺾고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다.[3] 2010-11 시즌에는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를 영입하며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두 번의 더비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무실점을 기록했다.[3]

2011-12 시즌부터 2019-20 시즌까지 두 팀은 유벤투스에게 리그 우승을 내주며 주춤했다.[3] 인터 밀란은 2020-21 시즌에, AC 밀란은 2021-22 시즌에 각각 리그 우승을 탈환했다.[3]

두 클럽은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서 다시 만났고, 인터 밀란이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3]

2023-24 시즌, 인터 밀란은 AC 밀란을 2-1로 꺾고 20번째 리그 우승을 확정 지으며, 클럽 배지에 두 번째 별을 달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에서 ''스쿠데토''가 결정된 최초의 사례이다.[3] 이 경기는 또한 인터 밀란이 AC 밀란을 상대로 6연승을 거둔 경기였으며, 이는 더비 역사상 양 팀의 공동 최장 연승 기록이다.[3]

2. 1. 명칭의 유래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라는 명칭은 밀라노 두오모 성당 꼭대기에 있는 금색 마리아 상인 '마돈니나'에서 유래했다.[3] 이 더비는 이탈리아 밀라노를 연고로 하는 두 축구 클럽, AC 밀란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 간의 경기를 지칭한다.

2. 2. 초기 역사 (분단과 첫 만남)

1899년 영국인 허버트 킬핀 등이 '밀란 크리켓 앤드 풋볼 클럽'을 창단하면서 AC 밀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3] 초기에는 알프레드 에드워즈가 클럽 회장을 맡았고, 크리켓과 축구 섹션으로 구성되었다.[3] AC 밀란은 허버트 킬핀의 지도 아래 빠르게 성장하여 1901년, 1906년, 1907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 특히 1901년의 승리는 제노아의 연승 행진을 끝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3]

1908년, AC 밀란 내부에서 외국인 선수 영입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풋볼 클럽 인터나치오날레'가 창단되었다.[3] 두 팀 간의 첫 더비 경기는 1908년 10월 18일 스위스 키아소 컵 결승전에서 열렸으며, AC 밀란이 2-1로 승리했다.[3] 초기에는 산발적으로 경기가 열렸지만, 1926-27 시즌부터 매년 더비가 개최되면서 본격적인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3] 이후 두 팀은 적어도 일 년에 두 번씩 경기를 치렀다.[3]

2. 3. 1960년대: 황금기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마촐라와 리베라)

1960년대는 밀란 더비의 황금기로, 밀란의 자니 리베라와 인터 밀란산드로 마촐라라는 두 스타 플레이어가 이탈리아 축구를 양분했다. 밀란은 1962-63 시즌 유러피언컵에서 우승했고, 인터 밀란은 그 다음 해에 우승을 차지했다. 밀란은 1968-69 시즌에도 유러피언컵 우승을 추가했다. 당시 밀란네레오 로코 감독이, 인터 밀란은 헬레니오 에레라 감독이 이끌었다.

두 선수의 라이벌 관계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도 이어져, 197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리베라가 마촐라 대신 교체 투입되기도 했다. (이탈리아는 브라질에 1-4로 패배)

2. 4. 1980년대 후반 ~ 2000년대 중반: AC 밀란의 전성시대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AC 밀란아리고 사키 감독의 지휘 아래 황금기를 맞이했다.[3] 마르코 판 바스턴, 뤼트 휠릿, 프랑크 레이카르트, 파올로 말디니 등 전설적인 선수들이 활약하며 국내 리그와 챔피언스 리그를 제패했다.[3] 1989년부터 1996년까지 밀란은 4개의 리그 타이틀과 3개의 유러피언컵(2번 준우승)을 획득하며 국내외 무대에서 지배적인 모습을 보였다.[3]

이 기간 동안 인터 밀란은 1992–93 시즌 리그 준우승, UEFA컵 2회 우승을 기록했다.[3]

2. 5. 2000년대 후반 ~ 현재: 경쟁과 스캔들

2006년, 칼초폴리 스캔들로 인해 유벤투스는 2005-06 시즌 우승을 박탈당했고, 인터 밀란에게 우승이 돌아갔다. 하지만 이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 인터 밀란은 2006–07 세리에 A 타이틀을 획득했고, 이 시즌 유벤투스는 1부 리그에서 강등되었고 AC 밀란은 승점 감점으로 시즌을 시작했다.[3] 인터 밀란은 2009-10 시즌까지 리그 4연패를 달성했고, 챔피언스 리그와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포함하여 트레블을 달성했다.[3]

AC 밀란은 아테네에서 리버풀을 꺾고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다.[3] 2010-11 시즌에는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를 영입하며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두 번의 더비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무실점을 기록했다.[3]

2011-12 시즌부터 2019-20 시즌까지 두 팀은 유벤투스에게 리그 우승을 내주며 주춤했다.[3] 인터 밀란은 2020-21 시즌에, AC 밀란은 2021-22 시즌에 각각 리그 우승을 탈환했다.[3]

두 클럽은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서 다시 만났고, 인터 밀란이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3]

2023-24 시즌, 인터 밀란은 AC 밀란을 2-1로 꺾고 20번째 리그 우승을 확정 지으며, 클럽 배지에 두 번째 별을 달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에서 ''스쿠데토''가 결정된 최초의 사례이다.[3] 이 경기는 또한 인터 밀란이 AC 밀란을 상대로 6연승을 거둔 경기였으며, 이는 더비 역사상 양 팀의 공동 최장 연승 기록이다.[3]

2. 6.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만남

2. 7. 기타 대회에서의 만남

2. 8. 최근의 밀라노 더비

3. 경기장

두 팀은 모두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산 시로)를 홈구장으로 공동 사용한다. 경기장 북쪽 스탠드(쿠르바 노르드)는 인터 밀란 서포터석, 남쪽 스탠드(쿠르바 수드)는 AC 밀란 서포터석이다. 2011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2023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는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에서 열렸다.

4. 기록

4. 1. 역대 전적

2024년 10월 7일 기준, 총 240번의 공식 경기에서 인터 밀란이 91승 69무 80패로 우세하다. 세리에 A에서는 181경기 70승 56무 55패,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27경기 9승 8무 10패,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에서는 2경기 1승 1패,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6경기 2승 2무 2패를 기록했다.

역대 최다 점수 차 승리는 1910년 2월 2일 세리에 A 경기에서 인터 밀란이 밀란을 5-0으로 이긴 경기와, 2001년 5월 11일 세리에 A 경기에서 밀란이 인터 밀란을 6-0으로 이긴 경기다.

대회경기 수인테르
승리
무승부밀란
승리
인테르
밀란
프리마 카테고리아145272724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83141312
세리에 A181705655259233
합계(리그)203785966299269
코파 이탈리아2798102734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210142
캄피오나토 알타 이탈리아210133
UEFA 챔피언스 리그622246
합계240916980337314



4. 2. 최다 득점 선수

2024년 9월 22일 기준 공식 경기 최다 득점 선수는 다음과 같다.

주세페 메아차


순위선수팀(골)
1안드리 셰브첸코/Андрій ШевченкоukAC 밀란14
2주세페 메아차/Giuseppe Meazzait인테르나치오날레 (12)
AC 밀란 (1)
13
3군나르 노르달/Gunnar NordahlsvAC 밀란11
이슈트반 네르셰스/Nyers Istvánhu인테르나치오날레
5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Zlatan Ibrahimovićsv인테르나치오날레 (2)
AC 밀란 (8)
10
엔리코 칸디아니/Enrico Candianiit인테르나치오날레 (7)
AC 밀란 (3)
7라우타로 마르티네스/Lautaro Martínezes인테르나치오날레8
8호세 알타피니/José AltafiniptAC 밀란7
알레산드로 알토벨리/Alessandro Altobelliit인테르나치오날레
로베르토 보니세냐/Roberto Boninsegnait인테르나치오날레
베니토 로렌치/Benito Lorenziit인테르나치오날레
루이 반 헤게/Louis van HegenlAC 밀란
13알도 보피/Aldo BoffiitAC 밀란6
알도 체베니니/Aldo CeveniniitAC 밀란 (4)
인테르나치오날레 (2)
아틸리오 데마리아/Attilio Demaríaes인테르나치오날레
산드로 마촐라/Sandro Mazzolait인테르나치오날레
디에고 밀리토/Diego Militoes인테르나치오날레
피에트로 세란토니/Pietro Serantoniit인테르나치오날레



4. 3. 최다 출장 선수

로소네리파올로 말디니는 밀라노 더비 최다 출장 기록(56경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비에르 사네티는 네라주리 최다 출장 기록(47경기)을 보유하고 있다. 주세페 베르고미는 인테르 소속으로 44경기에 출장했다.

순위선수팀(출장 횟수)출장 횟수
1파올로 말디니/파올로 말디니itAC 밀란56
2하비에르 사네티/하비에르 사네티es인테르47
3주세페 베르고미/주세페 베르고미it인테르44
4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itAC 밀란43
5지아니 리베라/지아니 리베라itAC 밀란42
6자친토 파케티/자친토 파케티it인테르40
산드로 마촐라/산드로 마촐라it인테르
주세페 메아차/주세페 메아차it인테르(37)
AC 밀란(3)
9프랑코 바레시/프랑코 바레시itAC 밀란39
10마우로 타소티/마우로 타소티itAC 밀란35
11타르치시오 부르니치/타르치시오 부르니치it인테르34
12주세페 바레시/주세페 바레시it인테르33
마리오 코르소/마리오 코르소it인테르
14마르코 살라/마르코 살라itAC 밀란(31)
인테르(1)
32
15클라렌스 세도르프/클라렌스 세도르프nl인테르(7)
AC 밀란(24)
31
루이지 페르베르시/루이지 페르베르시itAC 밀란



파올로 말디니

4. 4. 기타 기록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1949년 11월 6일에 열린 인테르와 AC 밀란의 경기로, 인테르가 6-5로 승리하며 총 11골이 나왔다. AC 밀란의 최다 점수 차 승리는 2001년 5월 11일에 기록한 0-6 승리이며, 인테르의 최다 점수 차 승리는 1910년 2월 6일에 기록한 0-5 승리이다. 최다 연승 기록은 AC 밀란이 1911년 2월 5일부터 1919년 2월 9일까지, 그리고 1946년 5월 30일부터 1948년 4월 11일까지 기록한 6연승과 인테르가 2023년 1월 18일부터 2024년 4월 22일까지 기록한 6연승이다.

더비 경기 최다 연속 무승부는 4경기로 1935년 9월 29일부터 1937년 2월 7일까지 기록되었다. 더비 경기 최다 연속 무패 기록은 17경기로 AC 밀란이 1929년 11월 10일부터 1937년 2월 7일까지 기록했다. 선수 개인 최다 연속 더비 경기 득점은 로멜루 루카쿠가 2019년 9월 21일부터 2021년 2월 21일까지 기록한 5골이다.

인테르 소속 선수 최단 시간 더비 경기 득점은 산드로 마촐라가 1963년 2월 24일에 기록한 13초이다. AC 밀란 소속 선수 최단 시간 더비 경기 득점은 호세 알타피니가 1961년 3월 26일에 기록한 25초이다. AC 밀란 소속 선수 단일 더비 경기 최다 골은 호세 알타피니가 1960년 3월 27일에 기록한 4골이다. 인테르 소속 선수 단일 더비 경기 최다 골은 3골로, 조반니 카프라(1910년 2월 6일), 아메데오 아마데(1949년 11월 6일), 이슈트반 네르셰(1953년 11월 1일), 디에고 밀리토(2012년 5월 6일), 마우로 이카르디(2017년 10월 15일)가 기록했다.

한 해 최다 더비 경기는 2023년에 기록된 5경기이다. 더비 경기 최연소 득점자는 에도아르도 마리아니로 1910년 2월 27일에 16세 359일의 나이로 득점했다. 더비 경기 최고령 득점자는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로 2021년 1월 26일에 39세 115일의 나이로 득점했다.

5. 양 팀에서 모두 뛴 선수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AC 밀란으로 이적한 선수로는 주세페 메아차, 호나우두,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안드레아 피를로, 클라렌스 세이도르프, 마리오 발로텔리 등이 있다. 주세페 메아차는 인터 밀란에서 1927년부터 1940년까지 348경기에 출전하여 241골을 기록했고, AC 밀란에서는 1940년부터 1942년까지 37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넣었다. 호나우두는 인터 밀란에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68경기에 출전하여 49골을 기록했고, AC 밀란에서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0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넣었다.

AC 밀란에서 인터 밀란으로 이적한 선수로는 로베르토 바조, 파트리크 비에라, 에드가 다비즈, 프란체스코 톨도, 하칸 찰하노을루 등이 있다. 로베르토 바조는 AC 밀란에서 1995년부터 1997년까지 51경기에 출전하여 12골을 기록했고, 인터 밀란에서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 41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넣었다.

호나우두의 인터 밀란 원정 유니폼(왼쪽)과 AC 밀란 원정 유니폼(오른쪽)은 산 시로 박물관에 있다.


선수포지션인테르밀란
재임 기간출장재임 기간출장
마리오 체베니니DF1915–1916301916–191942
1919–1921361
피에트로 브론치니FW1915–1916??1916–191740
1919–19261395
에우제니오 네그리MF1918–1919001919–192010
루이지 빈다GK1912–1913001919–1922480
1923–192520
안토니오 다 사코DF1920–19223601923–1925140
1931–193200
구글리엘모 토르나부오니MF1924–1925113192500
192583
1925–1926101
올란도 보키MF1925–1926??1930–1932352
엔리코 리볼타MF1922–1933265541936–193700
레나토 데 만자노MF1933–19341421936–1937110
엘피디오 코파MF1932–1934101938–1939112
카를로 빌라MF1936–19372311944–1945140
움베르토 구아르니에리FW1938–194252251944–1945206
피에트로 레부치MF1939–19411151944–194520
1942–1944116
주세페 메아차FW348241379
1946–1947172
첼소 바타이아DF1938–1940401946–1947130
1941–1943290
1943–1944110
1944–1945120
엔리코 칸디아니MF1937–1946187711949–1950228
나르시소 솔단GK1949–19514201956–1959360
조르지오 제치GK1951–195818601959–19651230
지노 피바텔리FW1947–19491961–19633711
사울 말라트라시DF1964–19662201967–1970670
안토니오 안젤릴로FW1957–1961113681965–1966111
1967–196831
알도 베트DF1967–1968801974–19811440
에지디오 칼로니FW1968–1970001974–197810131
마시모 실바FW1968–1971001976–1977204
조르지오 모리니MF1967–1968001976–1981754
오스카르 다미아니DF1968–1969001982–19845517
아델리오 모로MF1972–19756191981–1982191
티치아노 만프린MF1973–1974001982–1983170
나차레노 카누티DF1974–198213011982–1983350
잔카를로 파시나토MF1978–19829661982–1983337
1983–1985352
알도 세레나FW1978–1981211982–1983208
1981–1983212
1983–1985288
1987–1991114451991–1993100
마우리치오 간츠FW1995–199768261998–2001409
파비오 디 사우로DF1993–1999101999–200100
조르지오 프레졸리니GK1995–200100199900
피에를루이지 올란디니MF1994–1996304200021
안드레아 폴리차노DF1997–2000002000–200300
타리보 웨스트DF1997–19994412000–200141
호나우두FW1997–200268492007–2008209
시릴 도모로DF1999–2001602001–200400
안드레아 피를로MF1998–20012202001–201128432
다리오 시미치DF1999–20026632002–2008821
마르코 바랄디GK2000–2003002003–200800
크리스티안 비에리FW1999–20051431032005–200681
마테오 보가니FW2000–2001002001–200300
주세페 티클리MF1999–2003002003–200700
알레산드로 리비MF2001–2003002003–200500
클라렌스 세이도르프MF2000–20026482002–201230047
루카 체카렐리DF200200200300
살바토레 페라로DF2002102003–200800
에르난 크레스포FW2002–20031872004–20052811
2006–20084918
2008–2009142
주세페 파발리DF2004–20064902006–2010752
체드릭 세이도르프MF2000–2001002008–200900
아틸라 필코르MF2006–2010002010–201500
크리스티안 다미누타DF2008–2010002010–201500
마티아 데솔레DF2008–2010002010–201400
마티아 데스트로FW2005–2010002015153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FW2006–200988572010–20126142
2020–20236434
마리오 발로텔리FW2007–201059202013–20144326
2015–2016201
아만티노 만시니FW2008–2011261201070
루카 산토노치토MF2005–2007002010–201400
설리 문타리MF2008–20126672012133
2012–2015578
잠파올로 파치니FW2011–201250162012–20157421
안드레아 폴리MF2011–20121802013–2017903
마티아스 실베스트레DF2012–2015902013–201441
디에고 락살트DF2013–2016002018–2021240
레오나르도 보누치DF2005–2006102017–2018352
2006–20090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선수

! rowspan=2|포지션

! colspan=3|AC 밀란

! colspan=3|인테르

|-

! 재임 기간!! 출장 수!! 골

! 재임 기간!! 출장 수!! 골

|-

|align=left| 위고 리트만||MF

|1906–1908||2||0

|1909||1||0

|-

|align=left| 카를로 호프||MF

|1908||0||0

|1909||2||0

|-

|align=left| 아르날도 뵐켈||MF

|1908||?||?

|1909||2||0

|-

|align=left| 프랑코 본타디니||MF

|1910–1911||7||1

|1911–1920||47||28

|-

|rowspan="2" align=left| 구스타보 카레르||rowspan="2"|FW

|1904–1907||2||0

|rowspan="2"|1912–1913||rowspan="2"|6||rowspan="2"|0

|-

|1909–1912||38||6

|-

|rowspan="2" align=left| 주세페 리치||rowspan="2"|MF

|1904–1907||7||3

|rowspan="2"|1913–1915||rowspan="2"|20||rowspan="2"|0

|-

|1910–1913||42||16

|-

|rowspan="3" align=left| 알도 체베니니||rowspan="3" |FW

|||42||15

|||51||42

|-

|rowspan=2|1915–1919||rowspan=2|42||rowspan=2|48

|1919–1921||18||2

|-

|1922–1923||22||1

|-

|rowspan="3" align=left| 루이지 체베니니||rowspan="3" |FW

|1911–1912||1||1

|1912–1915||55||63

|-

|rowspan=2|1915–1919||rowspan=2|7||rowspan="2|5

|1919–1921||40||54

|-

|1922–1927||94||42

|-

|align=left| 훌리오 바바스트로||FW

|1910–1913||37||4

|1913–1916||41||10

|-

|align=left| 마르코 살라||DF

|1908–1920||90||3

|1921–1922||18||0

|-

|rowspan="2" align=left| 체사레 체베니니||rowspan="2"|DF

|rowspan="2"|1917–1918||rowspan="2"|0||rowspan="2"|0

|1919–1923||12||3

|-

|1926–1927||?||?

|-

|rowspan="2" align=left| 카를로 체베니니||rowspan="2"|FW

|1917–1920||9||2

|rowspan="2"|1920–1921||rowspan="2"|16||rowspan="2"|15

|-

|1923–1927||68||25

|-

|align=left| 프란체스코 솔데라||MF

|1914–1924||108||9

|1924–1925||1||0

|-

|rowspan="2" align=left| 구글리엘모 가야니||rowspan="2"|MF

|1918–1919||0||0

|rowspan="2"|1927–1928||rowspan="2"|?||rowspan="2"|?

|-

|1925–1927||18||0

|-

|rowspan="2" align=left| 조반니 볼조니||rowspan="2"|DF

|1924–1925||1||0

|rowspan="2"|1928–1932||rowspan="2"|71||rowspan="2"|0

|-

|1926–1927||4||0

|-

|align=left| 알레산드로 사벨리||MF

|1923–1927||78||35

|1927–1928||16||6

|-

|align=left| 에밀리오 가토론키에리||MF

|1934–1936||7||0

|1936–1938||15||0

|-

|align=left| 베르나르도 폴리||DF

|1933–1935||0||0

|1939–1944||46||2

|-

|align=left| 올리비에로 마셰로니||MF

|1934–1936||6||0

|1941–1942||13||3

|-

|align=left| 사비노 벨리니||MF

|1943–1944||0||0

|1945–1946||7||1

|-

|align=left| 로마노 펜조||FW

|1943–1944||11||4

|1945–1946||27||8

|-

|align=left| 세르지오 마르키||DF

|1944–1945||17||0

|1945–1948||88||0

|-

|align=left| 리노 그라바||DF

|1947–1949||3||0

|1952–1953||1||0

|-

|align=left| 브루노 마차||MF

|1942–1943||3||1

|1952–1955||83||7

|-

|align=left| 첼레스티노 셀리오||MF

|1952–1953||26||0

|1955–1956||16||1

|-

|align=left| 에우제니오 리졸리니||DF

|1955–1956||0||0

|1956–1959||4||1

|-

|align=left| 로렌초 부폰||GK

|1949–1959||277||0

|1960–1963||79||0

|-

|align=left| 가에타노 살베미니||FW

|1958–1959||0||0

|1968–1969||0||0

|-

|rowspan="2" align=left| 빅토르 베니테스||rowspan="2"|DF

|1962–1963||12||1

|rowspan="2"|1967–1968||rowspan="2"|8||rowspan="2"|1

|-

|1964–1965||16||1

|-

|align=left| 다리오 바를루치||GK

|1962–1967||85||0

|1967–1968||0||0

|-

|align=left| 아퀼리노 본파티||MF

|1964–1965||3||0

|1967–1968||7||1

|-

|rowspan="2" align=left| 네비오 스칼라||rowspan="2"|MF

|1965–1969||11||0

|rowspan="2"|1973–1975||rowspan="2"|26||rowspan="2"|1

|-

|1975–1976||23||0

|-

|align=left| 풀비오 콜로바티||DF

|1976–1982||158||4

|1982–1986||109||3

|-

|align=left| 세르지오 바티스티니||DF

|1980–1985||162||29

|1990–1994||112||10

|-

|align=left| 파브리지오 페론||GK

|1985–1986||0||0

|1999–2000||4||0

|-

|align=left| 프란체스코 톨도||GK

|1990–1993||0||0

|2001–2010||148||0

|-

|align=left| 크리스티안 파누치||DF

|1993–1996||89||9

|1999–2001||26||1

|-

|rowspan="2" align=left| 크리스티안 브로키||rowspan="2"|MF

|1

6. 양 팀을 모두 지휘한 감독

주세페 비고뇨는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밀란을,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인테르를 지휘했다. 조반니 트라파토니는 1974년과 1975년부터 1976년까지 밀란을,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인테르를 이끌었다. 알베르토 자케로니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밀란의 감독을 맡았고,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인테르를 지휘했다. 레오나르두 아라우주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밀란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인테르의 감독을 역임했다. 요제프 비올라는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인테르, 1933년부터 1934년, 그리고 1938년에서 1940년까지 AC밀란의 감독을 역임했다. 스테파노 피올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인테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AC밀란의 감독을 역임했다. 루이지 라디체는 1981년부터 1982년까지 AC밀란을,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인테르를 지휘했다. 일라리오 카스타네르는 1982년부터 1984년까지 AC밀란을,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인테르의 감독을 역임했다.

7. 우승 기록

분류대회인테르밀란
FIGC세리에 A2019
코파 이탈리아95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87
합계3731
UEFAUEFA 챔피언스리그37
UEFA 컵 위너스 컵-2
UEFA컵3-
UEFA 슈퍼컵-5
합계614
FIFA인터컨티넨탈컵23
FIFA 클럽 월드컵11
합계34
합계4649


참조

[1] 서적 Come difendersi dai Milanesi http://www.tecalibri[...] Giunti 2006
[2] 간행물 Milan vs Inter: The tradition, future of the Derby della Madonnina https://www.si.com/s[...] 2024-01-01
[3] 웹사이트 AC Milan 1–2 Inter Milan: Inter seal Serie A title by winning Milan derby https://www.bbc.co.u[...] 2024-04-23
[4] 웹사이트 "#TBT: 5 European clashes against Italian sides" https://www.acmilan.[...] 2017-11-30
[5] 웹사이트 Milan move into last four http://www.uefa.com/[...] UEFA 2017-11-03
[6] 뉴스 Inter handed stadium ban and fine http://news.bbc.co.u[...] 2017-11-03
[7] 웹사이트 Is this the greatest derby in world sports? http://www.theroar.c[...] The Roar 2011-04-28
[8] 웹사이트 準決勝でミラノダービーが実現!前回対戦(04-05準々決勝)を振り返る – ALLSTARS CLUB https://www.all-star[...] 2024-05-17
[9] 웹사이트 インテル、歴代単独2位となる通算20度目のセリエA制覇!…5節残しての優勝は最速タイ記録 https://www.soccer-k[...] 2024-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